카테고리 없음

어린이 미술교육 4가지 원칙_김정호 미술선생님

애키나키 2024. 12. 22. 04:59

저는 첫찌를 미술학원에 보낼까 고민하고 있었어요.
연령 차이가 나는 13개월인 둘째와 함께 육아하면서 첫째가 집에서 자유롭게 뭔가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가 없었어요. 그럴려면 공간을 둘째와 분리해서 혼자 공간에 둬야만 해서 아직 6세인데 마음이 쓰였거든요.
또, 아이가 선생님 존재 자체를 너무 좋아하니까 ... ㅎㅎ 미술학원에 보내서 실컷 그리고 만들고 놀면서 배우고 오라고 하고 싶었어요. 
근데 또 제가 직장맘이다보니 학원 하나를 보내려 해도 셔틀이 되는지, 유치원에서 바로 하원시켜서 라이딩해줄 수 있는 곳인지, 하원 시간에 맞춰 티오가 있는지(이런 몇가지 조건이 성립되면 무조건 인기 많아 들어가기가 별따기 수준임) 등등의 조건들이 항상 붙게 되더라구요. 
이런 저의 고민을 조금은 해결해주실 분의 영상을 만났습니다. 고맙습니다! 바로 김정호 미술 선생님 인데요. 
 
김정호 선생님은 어린이 미술교육에 대해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4가지 중요한 원칙을 설명해 주셨어요. 특히, 미술교육이 단순히 그림을 잘 그리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정서적 성장과 창의성을 키우는 중요한 과정임을 강조하셨어요. 

>> 네 ... ㅠㅠ 그래볼게요 .... 너그럽기가 참으로 어렵습니다 ...

1. 미술학원은 그림 실력을 키우는 곳이 아니다

  • 기대치를 낮추세요. 미술학원에 보내면서 아이가 단기간에 그림을 잘 그리거나, 눈에 띄는 성과를 내길 기대하는 부모님들이 많아요.
    • 하지만, 미술학원은 그림 실력을 향상시키기보다, 아이가 그림을 그리고 창작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에요.
  • 단기간의 효과를 기대하지 마세요. 영어 학원이나 수학 학원처럼 즉각적인 결과를 기대하면 안 돼요.
    • 미술은 공식이나 법칙에 따른 논리적인 학습이 아니라, 감정과 창의성을 표현하는 활동이라 효과가 천천히 나타난다고 해요.
    • 특히 유치원생이나 초등 저학년 아이들에게는 재미있게 표현하고 창작하는 경험 자체가 가장 중요하답니다.

 

2. 미술은 아이의 감정과 창의성을 우선시해야 한다

(1) 감정과 창작 활동 중심

  • 미술은 논리적인 학습보다 감정과 창의성을 우선시해야 하는 활동이에요.
    •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면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셨어요.
    • 아이가 그리는 그림에는 단순한 선과 색뿐 아니라, 그 아이의 생각과 감정이 담겨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대요.

(2) 규칙보다 자유로운 환경

  • 고학년 아이들에게는 어느 정도 원리와 기술을 가르칠 수 있지만, 저학년 아이들에게는 자유로운 창작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우선이에요.
    • 아이들이 스스로 원하는 방식으로 탐구하고 표현할 때, 창의력과 정서적 안정이 함께 자란다고 하셨어요.

 

3. 미술은 성취감을 느끼는 과정이다

(1) 성취 경험의 중요성

  • 미술은 아이들에게 성취감을 느낄 기회를 제공한다고 해요.
    • 그림을 그릴 때, 흰 종이에서 시작해 한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노력을 경험하고 성취감을 느끼게 돼요.
    • 김 선생님은 “아이가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이를 극복하며 한 작품을 완성하는 경험은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셨어요.

(2) 실패도 배우는 과정

  • 아이가 그림을 그리다가 실패하거나,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나오는 경험도 중요하대요.
    • 이런 경험을 통해 실패를 받아들이고 다시 도전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고 해요.
    • 부모님은 아이가 끝까지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켜봐 주고,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4. 미술은 정서 발달과 다양성 경험의 도구다

(1) 정서 발달과 창의성

  • 미술 활동은 아이들에게 정서적 안정을 가져다주고, 감정을 표현하며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준대요.
    • 그림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이를 부모님이나 선생님과 나누는 과정에서 정서적 능력이 발달한다고 하셨어요.
    • 아이가 그린 그림에 깜찍한 기술이나 멋진 표현을 기대하기보다, 그 그림 속에 담긴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헤아리는 것이 더 중요해요.

(2) 다양성을 경험하기

  • 미술 활동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재료와 표현 방식을 경험할 기회를 줘요.
    • 예를 들어, 클레이, 물감, 종이, 색연필 등을 사용해 보면서 각 재료가 주는 다른 감각을 느끼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대요.
    • 이런 과정에서 아이는 자연스럽게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게 된답니다.

 

5. 부모님께 드리는 조언

(1) 아이의 그림을 평가하지 말고 감정을 읽어주세요

  • 아이가 그림을 그려오면 “이건 뭐야?”라고 평가하는 대신,
    • “이 그림에서 네가 표현하고 싶었던 건 뭐야?”처럼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묻는 대화를 나누는 게 중요해요.
    • 그림은 단순한 결과물이 아니라, 아이가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도구라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2) 어른의 기준을 내려놓으세요

  • 부모님이 생각하는 “잘 그린 그림”의 기준을 내려놓고, 아이가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김 선생님은 “아이들은 머리로 배우기보다 몸으로 세상을 배운다”고 강조하셨어요.
    • 아이가 자유롭게 탐구하고 실패해볼 수 있도록, 따뜻한 시선으로 지켜봐 주세요.

(3) 미술은 긴 호흡으로 봐야 한다

  • 미술 교육은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 어려운 영역이에요.
    • 아이가 지속적으로 미술 활동을 통해 감정과 창의성을 발휘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오랜 시간 지켜보며 응원해 주세요.

미술은 아이의 정서와 창의성을 키우는 도구

김정호 선생님의 강연은 미술교육이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학습이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창의성 발달을 돕는 중요한 활동임을 강조했어요.

  • 아이가 자유롭게 창작하고, 그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결과물을 평가하기보다,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읽고 공감하는 부모님의 태도가 필요해요.
  • 무엇보다 미술은 긴 시간에 걸쳐 효과가 나타나는 활동이므로, 아이가 꾸준히 즐길 수 있도록 응원해 주세요.

관련링크 https://youtu.be/TWQvYuITc9k

 
 

애키나키의 Action plan

  1. 다양한 미술재료 준비하기 > 집에 만들기 재료가 부족함. 
  2. 활동할 수 있는 영역 만들어주기 > 규림이만의 책상 만들기, 책상 스탠드 수리하기
  3. 클레이와 모래 손닿기 쉬운 곳에 보관해주기
  4. 그림 속에 담긴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헤아리기 >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묻는 대화